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헬리오스
- 퀘이사프레임워크
- es6
- css
- FLUTTER
- 코틀린
- 자바스크립트
- 울트라에디터 헥사
- vue framework
- 물광주사
- 프락셀딱지
- 울트라에디터 ftp
- 플러터
- 울트라펄스
- 토닝
- 실펌레이저
- Kotlin
- 불마
- 우편번호API
- 피부과
- ultra edit ftp account
- 울트라에디터
- 뷰프레임워크
- 자료형
- 다음우편번호
- 프락셀
- JavaScript
- 셀라스
- 다음API
- 레이저토닝
Archives
- Today
- Total
클로스트 이야기
[CSS] linear-gradient() 사용하기 본문
linear-gradient() 는 지정된 태그에 배경을 그라데이션 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.
모던 CSS 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데요.
그이유는 홈페이지나 특정 페이지에서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자주 쓰는데, 여기에 더해
linear-gradient() 까지 함께 사용해주면 멋진 그림이 나오기 때문이죠.
가장 심플한 예제로 보여 드리겠습니다.
간단하게 html을 마크업합니다.
index.html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css/style.css">
<title>linear-gradient | CSS</title>
</head>
<body>
<header class="header">
여긴헤더
</header>
<main>
여긴메인
</main>
</body>
</html>
위와 같이 마크업하고 css를 코딩해줍니다.
style.css
* {
margin: 0;
padding: 0;
box-sizing: border-box;
}
.header {
height: 95vh;
background-image: linear-gradient(
to right bottom,
rgb(226, 108, 108, 0.5),
rgb(121, 34, 34, 0.5)),
url(../img/sea.jpg);
background-size: cover;
background-position: top;
}
위와 같이 작성합니다.
간단한 reset 코드와 헤더에 백그라운드에 대한 속성을 나열하고 작성합니다.
그리고 띄워보면.

여기서 불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색상을 변경하거나,
그라데이션 각도를 변경하거나 해서 자연스럽게 수정하시면됩니다.
간단하게 불투명도를 조절해 보겠습니다.
.header {
height: 95vh;
background-image: linear-gradient(
to right bottom,
rgb(226, 108, 108, 0.7),
rgb(121, 34, 34, 0.8)),
url(../img/sea.jpg);
background-size: cover;
background-position: top;
}
위와 같이 불투명도를 조절하고 다시 띄워보면

이렇게 linear-gradient()를 사용해 보세요. ^-^
더많은 기능과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.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CSS/gradient/linear-gradient
'개발이야기 >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] 유용한 css 프레임워크 소개 (Bulma) (0) | 2023.01.23 |
---|